지난해 사후피임약의 처방 건수가 급증한 가운데 특히 청소년 오남용 사례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피임약의 처방 건수는 105만7천여 건으로 이 중 사후피임약(응급피임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60%에 달했다.
심평원의 ‘최근 5년간 사후피임약 처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사후 피임약 처방건수는 총 15만9575건으로 2012년의 8만5429건보다 86.8%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51.8%(8만2679건)로 가장 많이 처방받았고 이어 30대가 26.8%(4만2726건), 40대가 11.9%(1만8913건), 10대 9.0%(1만4390건), 50대 이상이 0.5%(867건)를 차지했다.
사후피임약 오남용 의심 사례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5년간 ‘한 달에 2번 이상’ 사후피임약을 복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원은 총 2만658명이었다.
이 중 지난해 추정인원은 5482명으로 4년 전인 2012년(2395명)에 비해 약 129%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대의 경우 2012년 170명에서 2015년 420명으로 약 147% 증가했다.
건보공단의 자료에 의하면 지난 5년간 청소년 1만1942명이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진료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질병관리본부의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임신을 경험한 청소년 10명 중 7명은 인공임신중절수술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같은 기간 청소년 10명 중 3명이 성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인재근 의원은 “사후피임약은 인체 호르몬을 조절하는 약으로서 복용 전 유의사항 등에 대해 정확히 숙지해야 한다”며 “특히 상대적으로 임신과 출산관련 질환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청소년들에게 피임 관련 정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