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4일 심뇌혈관 질환의 관리에 대한 대토론회 개최

국내 심뇌혈관질환 관리 체계의 문제점 진단 및 향후 개선 방향 논의

전국 어디서나 심·뇌혈관질환을 3시간 이내 치료받도록 ‘권역별심뇌혈관질환센터’를 지정·육성한 사업이 정부의 운영비 지원 감소로 중단 위기에 처해있다.

사업 중단은 지방 특히 농어촌 등 의료사각지대의 주민들의 피해로 이어져 대책마련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최고의 심뇌혈관질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오는 24일 서울대병원이 주최한 ‘국가 심뇌혈관질환 관리 체계, 어디로 가야하나’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논의한다.

심장 및 뇌혈관질환은 암을 제외하고, 국내 사망원인 1, 2위를 차지하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사망원인 질환이다.

응급증상을 느낀 환자가 골든타임인 3시간 내에 적정 병원에 도착하면, 생존할 가능성이 높으나, 뇌졸중 환자의 3시간 내 응급실 도착 비율이 미국의 경우 59%, 일본은 66%인 반면 한국은 43.6%에 그친다.

정부에서는 2008년 강원대, 경북대, 제주대를 시작으로 2009년 경상대, 전남대, 충북대, 2010년 동아대, 원광대, 충남대, 2012년 인하대, 분당서울대 등에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를 선정해 운영해왔다.

정부에서는 권역센터별로 연간 약 수억원을 지원하며 △24시간 전문의 상주 당직 △SU(Stroke unit)운영 △신속한 조기재활 △입퇴원환자 및 관련 의료인 교육 등을 사업지원을 해왔다.

그 결과,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응급실 도착 후 관상동맥중재술까지 소요시간이 2008~2010년에 185분에서 2012년에는 81분으로 급성뇌졸중 환자의 응급실 도착 후 뇌경색 약제투여까지 소요시간도 2008~2010년 51분에서 12년 39분으로, 급성뇌졸중 환자의 응급실 도착 후 60분 내 혈전용해제 투여비율도 2008년 60.3%에서 2012년 88.6%로 개선됐다.  

정부에서는 그동안 점차 삭감해 작년 권역센터 운영비의 30%만 지원하는 사업비마저, 올해는 예산상의 이유로 전액 감축할 계획이다.

이번 대토론회에서는 그동안 국가 예산 소요 대비 지역 보건 향상과 건강불평등 감소에 큰 역할을 했던 권역 심뇌혈관 센터의 위축 위기에 대해 심도 깊은 토의를 할 예정이다.

우리나라의 심뇌혈관질환 관리가 한단계 도약하고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시도별 경계를 뛰어넘어 국가 전체의 심뇌혈관 질환 관리의 거시적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할 중앙 센터의 구축이 중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이러한 중앙심뇌혈관센터의 역할과 요건에 대한 토의 역시 진행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심뇌혈관질환 Prehospital system 이대로 두어도 되는가?’를 주제로 배장환 교수(충북대 심장내과)의 발제와 김영대 교수(동아대 순환기내과), 홍지만 교수(아주대 신경과), 신상도 교수(서울대 응급의학과)의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이어 △‘권역·지역센터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은?’를 주제로 차재관 교수(동아대 신경과)의 발제와 이희영 교수(분당서울대 공공의료사업단), 권순억 교수(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석연 원장(서울특별시 동부병원 원장), 이혜진 교수(강원대 예방의학과), 김 윤 교수(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의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또한 △‘중앙센터의 역할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를 주제로 배희준 교수(분당서울대 신경과)의 발제와 오세일 교수(서울대 순환기내과), 김 제 교수(충남대 신경과), 김주한 교수(전남대 순환기내과)의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공공보건의료와 심뇌혈관질환센터’를 주제로 이건세 교수(건국대 예방의학교실) 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윤병우 서울대병원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 추진단장은 “심뇌혈관질환은 후유증에 의한 사회적 부담이 큰 만큼 국가책임 안전망이 필요하다”며 “이번 토론회가 국내 심뇌혈관질환 관리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중앙심뇌혈관센터의 지정을 통해 중앙-권역-지역이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여 최선의 성과를 내는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참가를 위해서는 23일까지 사전 등록해야하며, 현장등록은 선착순으로 이뤄진다.


임중선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