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수가 커피값 수준, 판독 수가 따로 신설해야"

임상순환기학회, 측정 수가 외 판독표 구분 요구…회원 설문조사 결과 3만원 이상 응답

심방세공은 일차적으로 심전도로 진단하는 질병이다. 하지만 일차의료에서 심상세동을 진단할때 심전도의 수가가 너무 낮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임상순환기학회 김한수 회장은 지난 10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4회 추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를 통해 "해당 검사는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하지만 이 같은 수가는 너무나도 낮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은 "김 회장은 "많은 심전도 장비가 자동판독 기능을 탑재하고 있지만, 심방세동은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있기에 주의를 요한다"며 "심전도를 제대로 판독하는 데에는 많은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의원급 심전도 수가는 6460원으로 동남아시아에서도 최하 수준이다. 영국에서는 평균 130달러 정도이고 미국은 300달러까지도 받는다.

김 회장은 "더욱이 국내에서는 측정 수가 외에 판독료가 따로 구분돼 있지 않다"며 "방사선 촬영 재판독 수가가 있듯이 타 병원에서도 심전도 재판독이 의뢰됐을 때 의뢰 수가를 책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병원 내 심전도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독립적인 공간이 필요하며, 전담 직원을 뽑고 장비의 유지 보수 비용이 들어가는데 국내의 심전도 수가는 터무니없는 저수가라는 지적이다.

김 회장은 "기본이 되는 심전도 수가가 낮으니 24시간 심전도나 운동부하 심전도 수가 또한 보잘 것 없다"며 "실제로 내과의사회에서 심전도 적정수가에 관한 회원 설문조사를 했을 때 과반 정도는 3만원 이상을 받아야 한다고 응답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이유로 김 회장은 검사와 판독은 1차 의료기관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심방세동의 진단과 치료는 환자를 처음 접하게 되는 일차진료 의사에서부터 시작돼야 한다. 심 잡음이 들리거나 심부전의 증상을 보여 동반된 심장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거나 심기능 평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심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주변의 순환기내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 꾸준한 학습과 노력, 경험을 통해 일정수준 이상의 실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회장은 경증환자가 3차의료기관에 쏠리는 현상은 질환에 대한 정부의 가이드라인이나 정책 방향이 너무나 똑같다는 지적도 했다.

예방과 관리적 측면에서 1차 의료기관의 역할이 중요한 반면 여러 질환의 가이드라인이나 정책 방향이 3차 의료기관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

김 회장은 "최근 지인이 대학병원 응급실에 간 적이 있는데 경증환자가 많아 아수라장이 따로 없다고 하더라"며 "이는 3차 의료기관에 경증환자가 너무 많이 몰리다보니 근무하는 의사들이 중증환자 등 실제로 진료해야할 환자보다 많은 수를 봐야하고, 이는 부담과 과부하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