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대응·바이오헬스 산업에 7878억 전폭지원

[신년기획/ '위드 코로나시대' 보건산업 미래]

 

 

 

 

  생산기지 넘어 강국으로 도약 목표

  2023년까지 기업 10조 투자 계획

  정부, 지원자로서 민간투자 극대화

 

차세대 신성장 동력으로 손꼽히던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한 중요성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K-방역은 진단키트 분야와 치료제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면서 K-바이오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반도체나 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에선 세계 정상급 수준으로 평가받는 데 반해 제약 바이오 분야에서는 미국, EU, 일본 등에 뒤쳐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가 오히려 K-바이오에 대한 개발 의지를 높이고 국제 위상을 높여주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정부가 한국판 뉴딜과 함께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역설하는 배경이다.

2023년까지 바이오 헬스기업들이 2023년까지 약 10조원 규모의 투자에 나설 계획인 가운데 정부도 바이오산업과 기술 지원 강화에 나선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로 세계적 주목을 받는 ‘K-바이오’를 본격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도 담겨있다.

투자 규모는 의약품, 의료기기, 헬스케어 순으로 2023년까지 10조원에 달하는 가운데 정부는 기업들이 투자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 시 연평균 약 20%의 생산 증가와 9300여 명 규모의 신규 고용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는 지난해 11월 18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헬스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개별 기업의 투자가 성공하고, 그 성공이 산업 전반의 성장으로 연결돼 또 다른 투자 성공사례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고자 ‘지원자’로서 역할 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 예산을 올해보다 30% 증가한 1조7000억원으로 편성하고, 특히 범부처 협력연구에 올해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6400억원을 편성했다.

코로나19 감염병 대응 모범사례를 전세계와 공유해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에 따른 것도 있지만, 정부는 매년 보건산업 분야에 약 3만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고, 올해 10월 기준 의약품 및 의료기기 수출이 사상 최초 연 100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바이오헬스산업이 전도유망한 산업이 될 거라고 본 것이다.

이에 정부는 의약품,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별로 사업화 및 시장진출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 클러스터를 지역 특성에 맞게 전략적으로 육성해 바이오헬스 지역기업으로의 성장을 돕는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의약품은 △생산·유통구조 고도화 △생산, 규제, 미래융합의 단계별 인력양성 지원 △사업화 리스크 완화 등이 중점적으로 추진된다. 이를 위해 의약품 제조 혁신 센터를 구축하고, 연세대 국제캠퍼스 안에 바이오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해 2024년부터 개발·공정 인력을 연간 2000명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의료기기는 △현장 수요에 기반한 내수시장 확보 △통합형 시장진출 지원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新(신)의료기기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전자의료정보(EMR) 인증제 도입 확산 등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표준화 △제도·규제 정비로 초기시장 창출 지원 △국민 체감형 헬스케어 서비스 보급 확산 등이 계획됐다.

바이오기술에 데이터, 인공지능, 네트워크, 전자기술 등 첨단 디지털기술 융합을 가속화해 바이오 기술을 고도화하고 연구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하겠다는 계획도 담겼다. 여기에는 감염병 유입 차단과 확산 방지 등 방역시스템 고도화도 포함된다.

한편 정부는 올해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지원 및 치매극복 연구개발, 국가신약개발 등에 R&D 예산 7878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예산 대비 50% 늘어난 수치다.

시행계획 대상 사업은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임상지원, 치매극복 연구개발, 재생의료기술개발, 국가신약개발 등 총 61개 사업으로, 신규과제 1425억원, 계속과제 645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감염병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임상·비임상 단계의 연구지원을 강화하고, 신·변종 감염병 출현에 대비, 병원 내 방역-의료장비의 국산화 및 고도화로 국가방역체계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감염병 조사·감시·예방·진단·치료 등에 필요한 기술개발 및 공공백신 연구·개발·지원을 위한 시설 건립 및 운영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비임상지원 사업에 74억,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지원에 627억, 코로나19 백신 임상지원에 687억원이 지원된다.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에는 139억, 백신 자급화 등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 248억, 병원체 확보 및 특성분석 등 감염병 관리기술개발연구에 240억, 백신연구 기반 확보를 위한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 건립 및 운영에 136억이 투입된다.

바이오헬스 첨단유망기술 육성을 위해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 및 임상연구 분야 투자를 강화한다.

또, 개인별 맟춤 의료, 인공지능을 활용한 임상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개발, 데이터 관리·보호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의료기술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신약·의료기기 등 차세대 유망기술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개발, 임상, 인허가 및 제품화 등 전 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정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종 감염병, 치매와 같은 고부담 질환 등으로부터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공익적 R&D를 계속 확대할 것"이라며 "재생의료, 신약, 의료기기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혁신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바이오헬스 R&D 투자를 꾸준히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