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백일해 유행… 확산 막으려면 '예방적 항생제' 필수

이진아 홍보이사 "고위험군·전파가능자 등 치료·예방 목적으로 항생제 복용해야"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료' 시범사업 성공 안착 위한 정부 지원과 보상체계도 절실

기침이나 재채기로 전파되는 호흡기질환 백일해 환자가 올해 3만명이 넘는 걸로 집계됐다. 얼마 전 태어난 지 두달 안 된 아기가 치료를 받다가 숨지기도 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 이에 정부도 임산부들이 예방접종을 받도록 권고하고 나섰다. 

이런 가운데 백일해 확산을 막기위해서는 예방접종은 물론 예방적 항생제 사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환자의 밀접접촉자 중 0세 등 고위험군과 고위험군 전파가능자의 예방적 항생제가 시급하다는 것. 

대한소아감염학회 이진아 홍보이사는 지난 22일 가톨릭대학교 옴니버스파크 컨벤션홀에서 열린 추계학술대회에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밝혔다. 

이 홍보이사는 "국내의 경우 2011년도에 1명 사망한 환자 이후 거의 10년만에 처음"이라며 "보통 영아한테 생기는 확률은 0.5% 미만인데, 만약 환자가 10명이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겠지만 100명이 생긴다고 하면 1명, 1000명이 생기면 2~3명씩 점점 커지는 상황으로 갈 수도 있어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이어 "임산부가 백일해 예방접종을 맞는다고 해서 100% 걸리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지만 엄마가 접종을 하게 되면 아기한테 분명 예방효과는 있을 것"이라며 "아가들 역시 2개월, 4개월, 6개월 총 3번의 접종을 해야 어느정도 기초면역이 생긴다. 이번 사망한 아이의 경우 2개월이었으니 접종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홍보이사에 따르면 백일해 확진자 관리의 우선순위는 △2세 미만의 영아 △임신 마지막 달의 임부 △생후 6개월 미만 영아 또는 임신 마지막 달의 임부와 접촉이 있었던 확진자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산부인과병동, 보육시설 등은 확진을 보고받은 1일 이내에 대응을 해야 한다. 

결국 백일해 적응증이 있을 경우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홍보이사는 "아직 접종받지 못한 2개월 미만, 그 중에서도 임신 중 접종을 받지않은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가 중증질환 위험이 가장 높다"며 "또 6개월 미만의 고위험군 영아들은 증상이 급격하게 진행되며, 드물지만 무호흡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예를 들어 가족이 3명이다. 그 중 엄마가 백일해에 확진됐다면 아빠와 아이 모두가 예방적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며 "확진된 엄마는 치료가 되는 것이며, 나머지 가족들은 예방목적으로 복용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백일해 노출 이후 1주일 이내에 복용해야 효과가 85%, 2주 이내면 30%, 2주 이후에 먹으면 효과가 미비하다"며 "백일해는 전염력이 높은만큼 조기예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예방적 항생제 효과는 가족접촉자에서 초기에 사용하는 것 외에는 제한적이라고 전했다. 

이와함께 이 홍보이사는 이날 올해 11월부터 시작된 '항생제 적정사용 시범사업'을 언급하며 "적절한 인력 양성이 우선돼야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질병관리청은 의료기관의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를 위해 '항생제 적정사용 관리료(ASP)' 시범사업을 11월 1일부터 시작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항생제 내성 예방‧관리의 일환으로 항생제 처방 주체인 의료기관의 '항생제 처방 적정성'을 높이고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고자 도입했다.

이 홍보이사는 "의료기관 모든 종별에서 항생제 내성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지만 ASP 전담인력 존재 기관은 5.2%로 '전담인력 부족'이 ASP 활동 어려움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시범사업에서 소아 중심의 대책은 미비, 소외되고 있다고 아쉬워했다. 소아는 특성상 항생제 노출이 높고 내성위험이 더큰 현실임에도 불구하고, 소아전문 인력 부족으로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 홍보이사는 "ASP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전문 교육체계도 마련되지 않고 있다. ASP 이행을 위한 항생제 사용관리 전산시스템, 의료인의 적극 활동을 유인하기 위한 보상체계 등이 미흡하다"며 "병원들은 힘들게 일하고 있다는 것을 정부가 알아줘야 한다. 사업이 성공하고 지속 가능해지려면 국가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