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민‧관 원팀으로 바이오 역량 총결집

정부는 23일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최상목 권한대행 주재로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드넓은 가능성의 신대륙, 첨단바이오 시대 개막'이라는 슬로건 아래 개최된 이번 행사는 국가 바이오 정책 수립의 구심점인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을 국민들께 알리고, 글로벌 바이오 5대 강국 도약을 위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했다.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부위원장으로 위촉된 카이스트 이상엽 교수를 포함해 24명의 전문가를 민간위원으로 위촉하며, 바이오 관계부처의 장관,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간사위원) 및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 12명을 당연직 정부위원으로 구성한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모두발언에서 주요 선진국들의 바이오 분야 국가전략 마련, 관련 투자 확대 등 최근의 변화를 언급하며, 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 중심 경제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연 대한민국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 동력원으로서 바이오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를 범부처 최상위 거버넌스로 출범시켜, 관계 기관에서 개별 추진 중인 정책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보건·의료,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 대한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오늘 논의된 사항들을 바탕으로 민·관이 힘을 합쳐 구체적인 액션플랜을 신속히 도출할 것"을 당부했고, 국가바이오위원회 지원단을 빠르게 출범시켜 관련 활동을 밀착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1차회의에서는 이상엽 부위원장이 첫 번째로 '국가바이오위원회 비전 및 미션(안)'을 발표했다. 이어 고한승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을 시작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 이하 복지부)에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관계부처 합동)을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이민창 대통령 소속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이 '바이오 분야 규제현황 및 정비방향'을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클러스터, 규제, 인재양성 등 바이오 인프라 혁신 △바이오 R&D 투자의 체질개선을 통한 바이오 기술주권 확립 △바이오를 제2의 반도체로 육성하기 위한 산업계 지원 등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과 연계되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