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웍스, 'USCAP 2025'서 디지털 병리진단 핵심 장비 공개

슬라이드 스캐너 'VISQUE DPS' 북미 시장 첫 선

의료·산업용 영상 솔루션 전문기업 뷰웍스(대표 김후식)가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고 있는 북미 병리학회 학술 전시 'USCAP Annual Meeting 2025'에 참가, 자사 슬라이드 스캐너 'VISQUE DPS(Digital Pathology System)'를 북미 시장에 처음 선보였다고 24일 밝혔다.

이로써 최근 시스템 공급이 시작된 국내 주요 대형병원을 비롯해 미국, 유럽 등 주요 병리시장으로의 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슬라이드 스캐너는 조직병리, 액상세포, 면역병리 검사 분야에서 암 등의 질환 진단, 임상 연구실험 등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 병리 진단의 핵심장비다.

이에 뷰웍스는 지난 2021년 시제품 모델 개발 착수, 2023년 국내 인허가 취득에 이어 추가로 기능성 등을 업그레이드한 'VISQUE DPS'를 올해 초 내놓으며 본격 상용화에 들어갔다. 해당 제품은 뷰웍스 바이오 영상 솔루션 브랜드 'VISQUE' 시리즈에 본격 편입되며 주력 사업의 완성도를 한층 더 높였다.

VISQUE DPS는 유리로 구성된 조직 슬라이드를 고해상도 WSI(Whole Slide Image, 전체 슬라이드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초고속 디지털 병리진단 스캐너다. 현미경을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진단법에서 벗어나 디지털 방식으로 환자의 조직 슬라이드를 반영구 보관, 협진과 원격진료를 가능하게 한다. 기기 내에 한 번에 최대 510장의 조직 슬라이드를 장착해 시간당 83장의 WSI(15x15mm)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현존 슬라이드 스캐너 중 최고 속도다.

더불어 뷰웍스의 고해상도 카메라를 활용해 한 번의 스캔으로 서로 다른 초점 위치의 영상을 3장 촬영, 영상의 선명한 영역만을 선별해 합성하는 뷰웍스만의 독자적인 기술 '실시간 초점 확장(realtime extended focus mod)' 기술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스캔 시간 및 WSI의 용량 증가 없이 초점 길이를 기존 스캐너의 3배 이상으로 높이면서 WSI의 해상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해당 기술은 국내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뷰웍스는 국내 대형병원 병리학과 교수 및 전문의들의 요구 사항을 성실하게 반영해 긴 시간 자체 제품 검증을 통해 완성도를 높였으며, 2023년 식약처로부터 '세포 및 조직 병리 검사장치' 제조 인허가를 취득했다.

뷰웍스 관계자는 "디지털 병리 진단 장비의 국산화에 성공한 'VISQUE DPS'는 우수한 기능성을 인정받아 작년 12월 국내 대형병원에 도입됐으며, 타 기관에서도 관련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개인 정밀의학과 협업 진료라는 트렌드에 맞춰 글로벌 디지털 병리진단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USCAP(United States and Canadian Academy of Pathology)은 북미 병리학회 연합회로 글로벌 병리학 연구와 교육을 선도하는 국제 학술단체이며, 매년 학술 및 전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