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몇백 그램씩 변화하는 체중. 수분 섭취, 부종, 화장실 문제 등이 겹치면서다. 아침에는 빠져있던 체중이 잠들기 전에는 부쩍 늘어 있는 일도 흔하다.
하지만 1,2 kg을 넘어 3kg 이상 몸무게가 증가했다면 긴장할 필요가 있다. 이는 몸이 '살찌는 모드'로 전환되는 신호일 가능성이 높아서다. 이때 적절한 식이요법과 운동을 등으로 타이트한 관리에 나서지 않으면 지방이 몸에 자리 잡아 감량이 점점 어려워질 수 있다.
기준점은 3kg이다. 더 늘어나면 체중관리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체중이 오를 때 처음에는 지방세포가 아닌 글리코겐 증가를 의심할 수 있다. 평소보다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글리코겐이 늘면서 일시적인 체중 증가나 부종을 겪을 수 있어서다. 이는 2주 안에 개선해야 한다.
이러한 체중 관리 원칙은 지방흡입, 지방추출주사 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지방흡입은 지방세포 자체를 줄여 복부, 팔뚝, 허벅지, 얼굴 등 드라마틱한 효과를 선사한다. 하지만 지방세포의 수가 줄어든다고 살이 찌지 않는 것은 아니다. 체중이 3㎏ 이상 증가하면 남아있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지방흡입을 한 부위는 지방흡입 전보다 살이 덜 찌거나 천천히 찌는 경향은 존재한다. 하지만 기준점을 잘 지키면서 관리하는 게 몸매를 오래 유지하는 비결인 것은 사실이다.
여성 다이어터라면 생리 주기에 따른 체중 변화를 신경 쓰기 마련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체중이 들쭉날쭉 변하면서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는 호르몬의 영향 때문이다. 생리 전 유독 입맛이 당긴다는 사람이 많은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일반적으로 배란기 이후인 황체기에는 프로게스테론(황체호르몬)의 영향으로 식욕이 증가하고 몸이 부종을 쉽게 일으킨다.
이때는 에너지 소비도 줄어든다. 같은 양을 먹어도 소비되는 칼로리가 적어진다는 의미다. 이 시기에는 가벼운 유산소로 활력을 높여준다. 되도록 저녁은 가볍게 먹는 게 좋지만 워낙 식욕이 당겨 힘들다면 평소대로 식사하되 밥 등 탄수화물의 양만 조절한다.
반면 생리가 시작된 직후부터는 호르몬 수치가 변하면서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운동 효과도 극대화될 수 있는 시기다. 이 시기를 활용해 다이어트를 시작하면 보다 효과적인 감량이 가능하다.
체중 조절이 어려운 주기를 지나고 나서 본격적으로 식단 조절과 운동을 시작하는 게 유리하다. 생리 직후부터 2주간이 골든타임이다. 신체가 지방을 태우는 효율이 높아지는 시기다.
도움말/글로벌365mc인천병원 안재현 대표병원장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