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찬병원, '로봇인공관절 수술치료 가능성 높인 이유' 유튜브서 공개

힘찬병원 유튜브 채널 '수찬's 관절 토크' 코너를 통해,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하지만 여러 이유로 불가능했던 케이스의 해결법을 제시했다. '수찬's 관절 토크'는 수많은 의료 정보 속에서, 환자들이 정말 궁금해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정확하고 솔직한 내용을 전달하고자 만든 코너다.

이수찬 대표원장과 정형외과 백지훈 원장이 '기존에 못했던 수술.. 로봇이면 OK'를 주제로, 일반적인 기존 인공관절 수술 방식으로는 적용하기 힘들었던 사례들을 소개하고, 로봇을 활용해 수술을 성공시킨 과정을 최근 공개했다.

교통사고나 외상 등으로 무릎 주변 뼈 수술을 받은 환자는 뼈 구조에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런 환자에게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해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할 때는 기존 방식으로는 어려움이 따른다. 인공관절 수술 시 뼈에 절삭을 위한 가이드를 삽입해야 하는데, 뼈 구조가 변형된 경우 이 가이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거에는 인공관절 수술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70대 남성 환자의 경우, 40년 전 우측 대퇴골 원위부 골절로 수술을 받은 이력이 있고, 뼈 변형으로 무릎이 휘어진 상태였다. 5년 전부터 시작된 무릎 통증이 최근 극심해져 수술을 원했지만, 여러 병원에서 뼈 변형이 너무 심해 인공관절 수술이 어렵다는 진단을 받았었다. 다행히 백지훈 원장에게 로봇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았고, 이후 무릎 통증 없이 건강한 삶을 살고 있는 사례가 소개됐다.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은 "해부학적, 구조적으로 뼈가 변형된 경우 일반적인 인공관절 수술이 어려운데, 로봇 수술은 환자의 무릎을 CT로 촬영 후 3D 입체영상으로 변환한 자료를 바탕으로 인공관절의 크기와 삽입 위치, 절삭범위 등을 면밀하게 계획해 수술이 가능하다"라며 실제 로봇 수술은 환자와 집도의 모두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또 30년 전 교통사고로 양쪽 하지 골절 수술을 받은 뒤 양쪽 다리 길이가 달라지고 오랜 시간 뼈 속에 금속정이 박혀 있어 인공관절 수술이 불가능했던 환자의 로봇 수술 해결법이 18일 공개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일반 인공관절 수술 대비 로봇 인공관절 수술의 구체적인 장점들을 더욱 자세히 소개한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