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교수팀이 혈액 내 HMGB1 단백질이 세포 노화를 전신으로 확산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해 주목된다.
고대의대(학장 편성범)은 최근 융합의학교실 전옥희 교수팀(고대의과대학원 신지원 학생·미국 UC버클리 이리나 콘보이 교수·Turfts대학 크리스토퍼 와일리 교수)이 'HMGB1' 단백질이 세포 노화를 전신으로 확산하는데 핵심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교수팀에 따르면 노화세포의 대표적인 특징은 주변에 염증 유발 물질과 '노화 유도 신호'를 내보내면서 다른 정상 세포들까지도 늙게 만든다.
이를 '노화-연관 분비 표현형(SASP)'이라고 부르는데, 나이가 들수록 노화세포들이 여러 조직에 쌓이면서 몸 전체의 기능이 떨어지고 회복 능력도 점점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
이에 교수팀은 연구를 통해 노화세포에서 분비된 HMGB1이 혈액을 통해 전신에 퍼지며 정상 세포 및 조직의 노화를 유도하고, 근육 조직에서 조직 재생을 저해하며 기능 저하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교수팀은 'ReHMGB1(환원형 HMGB1)'이라는 형태가 노화를 퍼뜨리는 원인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HMGB1의 활성을 줄이기 위해, 이를 차단하는 항체를 쥐에 투여했다.
그 결과, 전신 염증이 줄고 손상된 근육의 재생과 기능도 크게 향상됐다. 또한, HMGB1가 세포에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인 RAGE 수용체를 차단했을 때도 노화 유도가 줄어드는 효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가 단순히 노화된 세포를 확인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노화가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교수팀의 설명이다.
전옥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노화가 특정 세포나 조직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확산되는 '노화 전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분자적 기전을 밝힌 것"이라며 "이 과정의 차단 시 조직 기능을 되살릴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노화 관련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내분비대사 분야 저널 '대사-임상 및 실험'(IF: 10.9)에 게재된 바 있으며, 과기정통부의 마이오카인 융합연구센터(MRC), 중견연구지원사업 등을 통해 진행됐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