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교수팀이 면역항암제에도 효과가 없는 진행성 간암 환자에게는 고전적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성모병원(원장 윤승규)는 최근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팀(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재준 교수)이 진행성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교수팀에 따르면 면역함암제 기반 치료는 진행성 간암 환자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며, 1차 치료의 표준으로 자리잡았지만, 실패한 경우에는 명확한 2차 치료 표준 전략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라는 것.
이에 교수팀은 간동맥을 통해 항암제를 직접 종양 부위에 주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간 내부의 종양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간동맥 항암 주입술에 주목했다.
연구에서 교수팀은 진행성 간암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병합요법 이후 질병이 진행된 환자와 처음부터 고전적인 간동맥 항암 주입술 치료를 받은 환자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병합요법으로 치료받은 후 간동맥 항암 주입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항암 주입술 단독요법 환자들 대비 객관적 반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무진행 생존기간과 전체 생존기간도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는 면역항암제 병합요법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가 항암 주입술을 거치면서 종양 항원 노출 및 면역원성 세포사(ICD)가 유도 되는 과정을 통해 치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게 교수팀의 설명이다.
성필수 교수는 "현재 진행성 간암 치료에서 1차 면역항암제 병합치료 이후 확립된 2차 치료전략이 부족한 상황에서 간동맥 항암 주입술이 중요한 대안으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라며 "특히 간암 치료의 패러다임이 면역항암제로 변화하는 현 시점에서, 해당 치료의 역할이 더욱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재준 교수는 "간동맥 항암 주입술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 치료법으로 국내에서는 서울성모병원·은평성모병원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면역항암제 병합요법 이후 환자 맞춤형 2차 치료 전략 수립 시 간동맥 항암 주입술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두 연구 결과는 각각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Oncology 및 Abdominal Radiology에 최근 게재됐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