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는 단순히 인공치아를 심는 치료가 아니라, 잇몸뼈 위에 튼튼하게 고정하는 고난도 시술이다. 잇몸뼈의 상태는 임플란트 성공의 핵심 조건이다. 잇몸뼈가 충분하지 않으면 인공치근을 제대로 고정할 수 없어, 임플란트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시술 후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런 경우 뼈이식을 통해 부족한 잇몸뼈를 먼저 보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뼈이식은 임플란트 전 단계에서 시행되며, 골형성이 완료된 뒤에 인공치근을 심는다. 일반적으로 이식 후 2~3개월 정도 기다려 뼈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면, 그 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다.
뼈이식이 필요한 대표적인 경우는 치아를 상실한 지 오래돼 잇몸뼈가 흡수된 경우다. 치아가 빠지면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 뼈가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방치 기간이 길수록 뼈이식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외에도 교통사고나 낙상 등 외상으로 인한 뼈 손상,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한 골 소실 등도 뼈이식이 필요한 상황에 해당된다.
사용되는 뼈이식 재료는 다양하다. 자가골(본인의 뼈), 동종골(사람 뼈), 이종골(동물 유래), 합성골(인공 물질)로 나뉘며,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다. 이종골은 인체 뼈와 구조가 유사하면서도 감염 위험이 낮고, 골형성 효과도 우수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된다. 자가골은 이식량이 제한되고 추가 수술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사용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최재용 대표원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숙련된 의료진의 시술 경험과 정품 재료의 사용 여부다. 뼈이식은 일반 임플란트보다 훨씬 정교한 기술이 요구되며, 이식된 뼈가 자연치조골처럼 기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이 때문에 풍부한 임상 노하우를 가진 의료진에게 시술을 받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 3D CT, 구강 스캐너 등 최신 장비를 갖춘 병원에서 진단을 받는 것도 필수다. 환자의 잇몸뼈 두께, 밀도, 위치 등을 정밀하게 분석한 후에야 적절한 재료와 이식 방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되는 뼈이식재는 반드시 의료용 인증을 받은 정품이어야 하며, 불분명한 재료나 비정품을 사용할 경우 염증이나 거부 반응 등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뼈 이식 후 회복을 위해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도 중요하다. 흡연은 절대 금물이다. 담배는 혈류를 방해해 뼈 재생을 방해하고, 이식 부위가 잘 아물지 않게 만들어 실패 확률을 높인다. 따라서 시술 후에는 금연은 물론, 정기적인 검진과 구강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임플란트의 수명도 함께 늘어날 수 있다.
결국 뼈이식 임플란트는 단순한 치과 시술이 아닌 고도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전문 치료다. 치료 전에는 자신의 구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경험 있는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진행해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