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시야가 흐려졌다면, '망막혈관폐쇄' 의심"

도움말/ 하늘안과 망막센터장 유형곤 교수

망막은 눈에서 카메라 필름 역할을 수행한다. 이 망막에는 혈관이 존재하는데, 망막혈관은 산소와 영양분 등을 체내 조직에 전달하여 노폐물을 수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망막혈관이 막히는 망막혈관폐쇄증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데, 그중 망막중심동맥폐쇄증은 응급질환으로 구분돼 평소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망막혈관폐쇄는 망막 동맥 또는 망막 정맥이 막히는 것으로 '눈의 중풍'이라고 알려져 있다. 뇌와 구조가 비슷한 망막의 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되어 출혈이 일어나면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해 망막이 손상되고, 시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는데 이를 '망막혈관폐쇄'라고 한다.

망막혈관폐쇄증은 망막에 있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눈으로 혈액이 전달되지 않는 질환이다. 나이가 들면 혈관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년층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망막혈관폐쇄는 실명의 위험이 있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질환을 앓고 있을 경우 동반될 위험이 높다.

망막혈관폐쇄는 망막동맥폐쇄와 망막정맥폐쇄로 나눌 수 있다. 망막동맥폐쇄는 망막 중심 동맥이 막혀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급격하게 시력장애를 보이게 되며, 혈액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아 시야에 먹구름이 낀 것 같은 급격한 시력 저하가 일어난다.

망막정맥폐쇄는 망막 중심 정맥이 막혀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혈관폐쇄가 일어날 경우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에부종이 발생하고 시력이 저하된다. 또한, 중심막막정맥폐쇄에서 신생혈관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다.

동맥폐쇄 중 망막분지동맥폐쇄는 비교적 예후가 양호한 경우가 많지만 망막중심동맥폐쇄는 폐쇄 후 24시간이 지나면 실명에 이를 수 있는 응급 안과 질환으로 발병24시간 이내에 안압을 낮추는 치료를 시행해 가능한 한 빨리 혈액순환을 회복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하늘안과 망막센터장 유형곤 교수는 "망막혈관폐쇄증의 발병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심장질환 등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대사증후군이 위험인자로 꼽힌다"며 "예방을 위해서는 혈관을 튼튼하게 만드는 건강한 생활습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균형 잡힌 식사, 음주 및 흡연자제, 주기적인 운동 등으로 혈압과 콜레스테롤을 관리하는 것이 좋으며 오랫동안 서있거나 앉아있는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기 쉬우므로 틈틈이 움직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조기발견과 적기치료를 위해서는 연 1~2회 정기적으로 안과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