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화장품 GMP 인증 활성화 지원사업' 추진

중소업체 대상 맞춤형 컨설팅·전문가 양성교육 등 실시
중기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연계로 효과 극대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2025년 화장품 GMP 활성화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CGMP 인증 활성화로 K-뷰티의 글로벌 품질 경쟁력을 강화해 체계적으로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CGMP(Cosmetic 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우수화장품 품질·제조관리 기준으로 현장실사를 거쳐 기준에 적합한 업소에 증명서를 발급한다. CGMP 업체 수는 지난 2018년 147개소에서 2020년 165개소, 2022년 175개소, 그리고 지난해 191개소로 점차 늘어나고 있다.

2025년 화장품 GMP 활성화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은 ▲맞춤형 전문가 컨설팅 ▲전문가 양성 교육(기초/전문 2회) ▲교육 영상 제작·제공 등이다. 특히 자외선차단제 미국 수출을 준비 중인 업체들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전문가 양성 교육에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의약품 GMP 실사 사례 교육을 제공한다.

미국은 자외선차단제를 일반의약품(OTC)으로 분류해 수입되는 자외선차단제에 대해 의약품 GMP를 적용하고 있다.

이번 지원사업이 중소기업벤처부의 '부처협업형 지능형(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사업'과 연계해 진행됨에 따라 'CGMP 맞춤형 전문가 컨설팅'은 지능형 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선정된 13개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특히 올해 지원사업의 업체 맞춤형 컨설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업 시작과 함께 업체와 전문가 간 1:1 대면 멘토링을 진행하는 '매칭데이'를 지난 21일 중소기업중앙회(서울 영등포구 소재)에서 개최했다. 매칭데이에는 선정업체와 CGMP 전문가, 식약처·중기부 사업 운영기관인 대한화장품협회와 스마트제조혁신협회 관계자가 참석했다.

한편 식약처는 지난 2016년부터 CGMP 컨설팅·교육 등 지원사업을 진행해 왔으며, 2024년까지 총 127개 업체에 대해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해 이 중 60개 업체가 CGMP 적합업소로 지정됐다. 전문가 양성 교육은 총 31회 실시해 2068명이 교육을 받았다.

식약처는 "이번 지원사업이 업계에서 CGMP 실시 평가를 준비할 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CGMP 인증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 국내 제조업체의 품질관리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K-화장품의 수출 상승세를 이어 나가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