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병원 전홍준 교수, 신경정신의학회 학술상 수상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준 교수가 불면증 평가 도구의 정밀 분석 연구로 2025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중앙정신의학 논문상을 수상했다. 시상은 4월 17~ 18일까지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춘계학술대회에서 진행됐다.

이 상은 최근 1년간 Psychiatry Investigation에 실린 논문 가운데 학술적 완성도와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여된다. Psychiatry Investigation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 SCI 학술지로, 정신의학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널로 평가받는다.

수상 논문은 전홍준 교수의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nd Its Comparison With the Shortened Version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일반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불면증 심각도 척도와 단축형 버전 간 비교 및 심리측정학적 특성 연구)'다.

이 논문은 Psychiatry Investigation에 2024년 1월호에 게재됐다.

전홍준 교수는 대표적인 불면증 평가 척도인 '불면증 심각도 척도(Insomnia Severity Index, ISI)'를 대상으로 연구했다. 이 도구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현대 측정이론 기반의 분석 기법인 등급반응모형(Graded Response Model)과 Rasch 분석을 통해 정밀하게 검토했다.

특히 기존 7문항의 원형 도구 외에도, 3문항과 2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ISI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 분석해 디지털 기반 수면 평가 도구로서의 실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단축형 ISI는 불면증 증상의 핵심인 △입면장애(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 △수면 유지 어려움 △주간 기능장애(피로, 집중력 저하 등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를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했다. 예를 들어 3문항 버전에서는 '잠드는 데 어려움', '잠에서 자주 깸 또는 다시 잠드는 어려움', '주간 기능 손상 정도'를 묻는 질문이 포함된다. 이는 짧은 설문으로도 불면증의 주요 특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디지털 헬스케어, 역학조사, 비대면 진료 환경 등에서 활용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ISI의 기본적 신뢰도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연구는 문항 단위의 정량 분석을 통해 평가 도구의 구조적 타당성과 효율성을 입체적으로 검토한 점에서 차별성을 보였다.

전홍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불면증 환자의 진단과 평가를 보다 정량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임상 현실에 밀착된 실용적인 수면의학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전홍준 교수는 현재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과다수면장애 등 수면장애 전반을 전문적으로 진료하고 있으며, 정신의학적 진단과 최신 수면과학을 접목한 임상 및 연구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