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생활습관에 따른 노인층의 퇴행성관절염 증가로 인공관절 시장이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최근 5년간(2005~2009년) 인공관절의 국내 생산과 수입량을 분석한 결과, 인공관절의 전체 시장규모는 연평균 12.9%의 성장을 나타냈다〈그림 참조〉. |
||
인공관절이란 관절성형술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로 사용부위에 따라 인공무릎, 엉덩이, 어깨, 팔꿈치, 발목, 손가락, 발가락 관절로 구분한다. 최근 인공무릎과 엉덩이 관절 등 인공관절의 국내 시장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
인공 무릎관절의 경우 연평균 약 12%의 고성장을 보였다. 인공 무릎관절의 지난해 시장규모는 약 800억원을 기록했다〈표 참조〉. 또 인공 엉덩이관절은 퇴행성 병변, 골절 및 종양 등으로 인해 병변이 발생한 엉덩이관절을 대체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연평균 약 8%의 성장을 보이며, 지난해 시장규모는 약 400억원이다. 이밖에 인공관절로는 어깨관절(12억), 발목관절(8억), 팔꿈치(6억), 손가락 및 발가락 관절 등이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일부 인공무릎과 엉덩이 관절을 제외한 나머지 인공관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며 “국내 제조업체의 인공관절시장 허가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주요 인공관절의 허가업체 수는 인공 무릎관절은 국내 제조 1개, 수입 17개이고, 인공 엉덩이관절은 국내 제조 2개, 수입 21개이며, 그 외 인공관절은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식약청 측은 인공관절과 같은 의료기기의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하기 위해 전담 허가도우미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수준의 성능시험 자료심사 등을 통해 인공관절의 안전성·유효성 확보 및 선진외국과 국제 규제조화도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
||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