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행사에서는 사노피가 진행한 지난 10년간의 국내 당뇨병 환자 임상데이터가 공개됐으며, 성공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한 주치의-환자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지난 2003년 이후 사노피는 3600여명의 국내 연구자와 함께 총 7만8300여명의 국내 제1형 및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총 42건의 임상연구를 진행했다. 또 한국인에 적합한 당뇨병 치료옵션을 밝혀내기 위해 그간 사노피에서 투입한 연구비용은 230여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0년간 진행된 연구에서 9편의 논문이 미국당뇨병학회(ADA)와 유럽당뇨병학회(EASD)를 비롯한 국내외 주요 학회의 초록에 실렸으며, 13편은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 등 주요 학회지에 발표된 것으로 확인됐다. 발표를 맡은 사노피 의학부의 무르가 바디베일 전무는 “유병인구가 400만명에 달할 정도로 당뇨병은 국내에서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자리잡았다”며 “사노피는 ‘360도 당뇨병 파트너’로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임상연구를 통해 국내 당뇨병환자들과 전문가들을 도와 치료적 혁신을 가속화 하는데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양일간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최동섭 교수 당뇨병센터장과 분당서울대병원 장학철 내분비내과 교수를 비롯한 약 100여명의 당뇨병∙내분비내과 의료진이 참석했다. 한국인 당뇨병 환자에 적합한 당뇨병 치료옵션에 대한 폭넓은 의견 교류가 이뤄졌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