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동제약이 개발한 이 생산기술은 생물촉진용 버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칼시트리올 또는 칼시페디올 생산방법이다. 기존에는 칼시트리올과 칼시페디올의 생산을 위해 유기합성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다단계 합성공정에 따라 고도의 합성기술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생산 수율이 낮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일동제약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생물촉매 생산기술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과 공정으로 그 효율을 높였다. 특히 생산과정이 환경 친화적이어서 최근 과학기술의 흐름인 ‘그린 바이오테크’ 측면에서도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칼시트리올과 칼시페디올은 비타민D₃ 의 활성형 유도체로서 인체의 간과 신장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칼시트리올과 칼시페디올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칼시트리올의 경우 1g당 약 2만6000달러에 이르는 고가의 원료이다. 따라서 일동제약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당 원료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돼 세계 시장 진출은 물론 상당한 수입대체 효과도 기대된다. 일동제약은 이번 미국 특허등록이 칼시트리올 및 칼시페디올 원료의 해외 시장개척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유럽, 일본, 중국, 브라질에서도 특허 등록을 추진 중이다. 또 50톤 발효조를 보유한 일동제약 포승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이 생산방법의 상용화와 해외시장 개척이 앞당겨질 것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