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할 수록 비만 고소득층과 2배 차이"

성인 3명 중 1명 비만 유병률도 상승

가난할수록 비만율이 높아지는 이른바 ‘비만 양극화’현상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본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만19세 이상 비만 유병률은 34.1%로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대’가 40.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50대’38.3%, ‘70대 이상’37.4%, ‘40대’35.6%, ‘30대’32.9%, ‘20대’23.5%의 순이었다.

소득수준별(4분위)로는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 그룹이 37.2%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소득이 가장 많은 4분위 그룹은 30.7%의 유병률을 보여 ‘가난할수록 비만일 가능성이 큰 경향을 보였다.

2015년 기준 비만으로 인해 진료를 받은 인원(0~19세 포함)은 총 1만8022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같은 기간 국내 비만인구(약 1,351만 명)의 0.13%에 불과한 인원으로, 비만인 성인 750명 중 1명만이 병원에서 비만 진료를 받은 셈이다.

연령별 비만 유병률을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비만 유병률이 낮은 편이었던 ‘30대’가 19세 이상 성인 진료인원의 약 32.2%에 해당하는 5124명 진료를 받았고, 이어 ‘40대’가 4447명(27.9%), ‘20대’ 2759명(17.3%), ‘50대’ 2,591명(16.3%) 순이었고, 연령별 비만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60대’와 ‘70대’는 각각 770명(4.8%), 221명(1.4%) 진료를 받아 저조한 진료율을 보였다.

또, 소득이 낮을수록 비만 진료율도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비만 진료 현황을 소득수준별(10분위)로 살펴본 결과, 전체 인원 18,022명 중 소득하위(1~5분위) 그룹은 총 7669명, 소득상위(6~10분위) 그룹은 총 9582명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1,208명)과 가장 높은 10분위 그룹(2,241)의 진료인원은 약 1.85배 가량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6년 소득 1분위 그룹과 10분위 그룹의 비만 진료인원은 각각 1,214명, 2,320명으로 1.9배의 차이를 보였으며, 올해 상반기의 경우 각각 723명, 1,471명으로 두 그룹 간 2배가 넘는 차이를 기록했다.

인재근 의원은 “가난할수록 높아지는 비만율도 문제지만 소득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진료율은 더욱 큰 문제"라면서 "정부는 진료비에 대한 부담, 비만이 질병이라는 사회적 인식의 부족 등 비만 진료 저조 현상의 근본적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