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다양한 이유와 원인을 가지고 수술대에 오른다. 예상치 못한 사고나 질병 치료를 위해서, 또는 미용 목적의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꼭 필요한 수술이라 하더라도 수술 후 봉합 흉터는 피할 수 없다. 특히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생긴 흉터로 인해 노출이 있는 옷이나 외출을 꺼리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다.
수술 후 봉합과정은 필수적으로 진행된다. 성공적으로 수술을 잘 마쳤다 하더라도 피부 장력의 영향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꼬맨 부위가 벌어질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비후성반흔이 나타날 수 있다. 체질에 따라서는 켈로이드 흉터가 발생하기도 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또다시 수술을 받아야 하는지 고민하기도 하는데, 레이저 치료를 통해서도 상당부분 개선이 가능하다.
연세스타피부과 신촌본점 강진문 대표원장은 "모든 흉터 치료의 시기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조언한다.
이어 "흉터 초기 붉은기를 띄는 형태라면 브이빔과 같은 혈관레이저로 치료가 가능하고 피부에 과도하게 증식된 혈관을 치료하면서 붉음증을 개선하고, 흉터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어 꼬맨자국이 도드라지는 것을 막아준다"며 "만약 켈로이드 체질을 가지고 있다면 봉합 흉터가 더욱 커지고 심한 경우 통증을 동반할 수 있어 신속한 치료가 진행돼야 한다. 이런 경우 레이저와 주사를 복합적으로 적용해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술 후 회복기간이 길어지면서 흉터의 치료 시작이 비교적 늦어지는 경우도 생긴다. 그동안 봉합 부위는 하얗게 자리를 잡게 되는데 이때 이미 늦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강 원장은 "흉터 치료가 늦어지더라도 울트라펄스앙코르와 같은 CO2 레이저를 이용한 핀홀법 방식을 적용하면 정상피부와 비슷한 상태로 충분히 개선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핀홀법은 레이저를 통해 피부에 촘촘하게 구멍을 내 피부 속에 엉켜있는 콜라겐을 풀어주고 빠르게 재생을 유도시키는 치료방법이다. 새로운 수술흉터를 생성할 위험을 줄이고 일상에서 꾸준히 봉합흉터레이저 치료를 받는데도 부담이 없다.
흉터는 한 번 만들어지면 자연적으로 회복이 어려운 성격을 띠고 있다. 되도록 빠른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와 함께 봉합흉터 레이저 치료를 진행하는 의료진의 숙련도 역시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좋은 레이저 장비와 풍부한 노하우가 갖춰져 있는지, 치료 후에 관리를 꼼꼼하게 확인해주는지 잘 체크한다면 같은 치료방식으로도 더욱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