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건기식' 혁신원료·고기능성 앞세워 글로벌시장 정조준
웰니스 트렌드 확산으로 국내외 건기식시장 고속 성장세
코스맥스바이오, 차즈기·수국잎 열수추출물 세계서 주목
CJ제일제당·비파도·알피바이오도 글로벌 영역확장 가속
전 세계적으로 웰니스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관련 시장 규모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가파르게 확대됐다. 이에 따라 국내 건강기능식품 산업도 혁신적인 원료 개발과 글로벌 시장 개척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 일반적인 건강기능식품에서 벗어나 과학적으로 검증된 기능성 원료를 활용한 제품들이 세계 무대에서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한국 건강기능식품 수출액은 2020년 5억8101만달러에서 2023년 8억4728만달러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왔다.
개별인정형 원료,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도 높여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기능성이 입증된 원료 사용이다. 개별인정형 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특정 기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원료를 의미하며, 과학적 연구와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를 입증해야만 인정받을 수 있다.
개별인정형 원료로 인정받을 경우, 6년간 해당 원료의 제조, 판매권을 독점적으로 갖게 된다. 기능성과 안정성이 과학적으로 검증됐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뢰도 높은 원료로 인정받는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기업들도 개별인정형 원료 기반의 제품을 앞세워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코스맥스바이오 차즈기·수국잎 열수추출물 주목
코스맥스그룹의 건강기능식품 전문 제조기업 코스맥스바이오는 한국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개별인정형 원료를 개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9년 대비 2023년 712% 성장을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코스맥스바이오의 차즈기 추출물과 수국잎 열수추출물과 같은 개별인정형 원료가 주목받고 있다. 차즈기는 항산화·눈 피로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최근 미국 FDA NDI 인증을 획득한 수국잎 열수추출물은 피부 건강과 체지방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건강기능식품 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차즈기, 수국잎 열추출물 등과 같은 개별인정형 원료뿐만 아니라 완제품 수출 증가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UL·NSF 품질 인증을 이미 획득했으며,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할랄 인증도 최종 단계에 있다.
코스맥스바이오 관계자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글로벌화가 가속화되면서, 차별화된 원료 개발과 과학적 검증이 필수 요소가 됐다"며 "차즈기 추출물과 수국잎 열수추출물의 해외 시장 성과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기능성 원료 연구와 글로벌 유통망 확장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국내 기업들
이외에도 국내 주요 건강기능식품 기업들은 단백질 기반 식품을 출시하거나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기반으로 제품을 공략하는 등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최근 글로벌 건강식품 트렌드에 맞춰 식물성 단백질 기반 건강기능식품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 시장을 타깃으로 한 고단백 제품군을 확대하며, 국내 시장에서도 건강식 대체식품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기업 비피도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기반으로 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한다.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 장 건강과 면역력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고기능성 유산균 제품을 앞세워 해외 유통망을 확장하고 있는 것.
대웅제약과 미국 알피쉐러 합작사인 알피바이오도 최근 국제식품안전규격 FSSC 22000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이번 인증을 통해 알피바이오는 동남아시아, 중국, 일본, 미국 등 주요 해외 시장에서의 신뢰도를 높이며 글로벌 유통사와 바이어들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건강기능식품 산업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차별화된 원료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다양한 규제와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맞춰, 기업들은 더욱 전략적인 해외 진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